항공, 공항

공항 지상직과 지상조업 차이점/ 지상 조업 하는일

T____ 2023. 2. 4. 23:02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직 후 새로운 업무에 적응하느라 한동안 글을 못쓰고 있었는데, 주말이 찾아온 기념으로 또 한번 써볼게요

오늘의 주제는 흔히 공항에서 보는 항공사 지상직과 '지상 조업'의 차이점이 뭔지 알려드릴게요

우선 사람인 구인공고부터 보겠습니다.

지상조업 이라는 특정해서 구인중인 모습이다.

그냥 지상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아닌 정확한 지상조업이라는 워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세부사항을 볼게요 백문이 불여일견! 

한국 회사중 가장 큰 규모의 지상조업 회사인 샤프 에비에이션케이의 공고를 눌러보겠습니다. 

타 회사들에 비해 상세한 모집요강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지상 조업직은 통칭 '램프'로 불립니다. 

공항 램프(airport ramp)

격납고 앞 계류장(aprons) 및 포장된 주기장(hardstand)을 포함하여 표면 형태와 관계없이 항공기를 보관, 수리, 유지관리하는 모든 옥외지역.

즉 쉽게 말해서 지상조업이란 , 'Airport Ramp 에서 일하는 직업' 이라고 보시면 되는거죠

세부 업무는 위의 구인공고에 기반해서 말씀드릴게요 

첫번째, 항공기 유도/ 견인

램프의 가장 대표적인, 그리고 공항 운영에 가장 중요한 것이 항공기의 유도/ 견인입니다. 

항공기는 공항 활주로에 착륙 후, 관제탑의 지시를 받아 해당 주기장(비행기 서는 주차장)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항공기 조종석에서는 시야가 매우 제한적이라 정확하게 주차 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이 경광봉과 수신호로 주차를 도와 줘야합니다. 

ㅋㅋㅋㅋ 이렇게 춤추면 혼납니다.

저렇게 춤추면 진짜 개욕먹습니다. 저런일은 없어요 ㅋㅋㅋ하시면 안됩니다. 

어쨌든 저렇게 비행기가 올바른 각도와 위치로 주차할 수 있도록 최소 4명의 인원이 비행기 앞쪽에 한명, 양쪽 날개에 한명씩, 그리고 조종석 바로 밑에 한명이 배치됩니다.  

얼마전에 흥행했던 탑건-매버릭 보셨다면 기억하시죠 ? 비행기에 수신소 해주는 그런 역할입니다.

정면에서 유도중

그리고 비행기가 출발할때 견인도 해야하는데요, 

비행기는 일단 후진이 안됩니다. 그래서 꼭 견인차로 밀어 줘야하는데요, 그것도 램프의 업무입니다. 

토잉카를 연결한 모습

이렇게 비행기 조종석 아래에 긴 강철막대를 연결해서 뒤로 밀어주는 것입니다. 

뒤로 쭉~ 밀어서 비행기가 방향을 돌려 활주로로 갈 수 있도록 후진 시켜주는것이죠.

 

그리고 두번째로 수하물의 상/하역 입니다.

상/하역이라고 하면 딱 떠오르는 역할이 있죠? 네 맞습니다. 승객들의 짐가방을 상/하차 하는 것입니다. 

이는 비행기 기종마다 차이가 있는데요, 음..흔히 제주도 가실때 타는 B737-800급의 작은 비행기는 벨트로더 라는 장비를 비행기에 연결하고 손으로 하나 하나 올리고 내리는 택배 상하차 역할입니다. 

벨트로더

요롷게 생긴 컨베이어 벨트가 달린 차를 이용해서 비행기에서 땅으로 가방을 내려서 여객 터미널로 갖고갑니다. 

엄~~~~~~~청 힘들겠죠 ? 실제로 비행기 아래쪽의 짐칸 (Lower deck)은 공간이 굉장히 협소해서 노동의 강도도 아주 높은 편입니다. 

 

앉아서 일해야 하는 높이입니다. 허리가 아주 아프겠죠 ㅜㅜ

 

하지만, 비행기의 규모가 커진다면 굉장히 수월해집니다. 

LD3 컨테이너

보잉 787이나 에어버스 330 같은 대형기종은 이렇게 생긴 깡통에 실어서 요 통을 기계로 지---잉 하고 올려서 넣어버리면 끝입니다. 훨씬 쉽죠 ㅋㅋ

LOWER DECK LOADER에 짐을 올려서 탑재하는 모습

위의 사진처럼 기계로 들어올려서 밀어넣어버리면 그만이거든요, 비행기 안에서도 바닥에 롤러가 설치되어있고, 그 롤러는 전동으로 굴릴 수 있어서 굉장히 수월합니다.(PDU 라고 부릅니다 Power Drive Unit)

자 그리고 세번째로 지상조업 차량/장비 운용인데요, 

위의 내용과 약간 중복되지만 그래도 한번 더 설명할게요

지상조업에는 많은 종류의 차량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짐을 옮겨주는 Tug car

 

옮겨간 짐을 비행기 화물칸으로 들어올려서 밀어넣는 Loader

 

비행기를 후진시켜주는 TOW CAR
비행기에 계단을 연결해주는 STEP CAR

이런 다양한 장비들의 운용 또한 램프의 역할입니다. 

그래서 저~기 모집요건에 보시면 1종보통 운전면허가 필수입니다. 

장비 운전은 정말 기본중의 기본이기 때문입니다. 

 

자 이렇게 오늘은 항공사 지상조업직을 알아봤습니다. 

비행기 운항에 절대로 없어서는 안될 필수 직군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아무래도 야외 현장에서 일하고 각종 장비들의 운용때문에 안전사고에 노출 되어있으며, 노동 강도 또한 상당합니다.

물론 그에 따른 각종 수당과 공항이라는 업계 특수성상 연장, 야간 근로 수당이 아주 철저하게 지급된다는 점이 장점일 것입니다. 

공항에서 일하기를 꿈꾸는 후배 여러분 ! 

제가 알려드린 자료로 지상직 서비스와 지상 조업직의 차이점 확실히 알고 나서 본인에 맞는 업무에 잘 입사지원 하시길 바랍니다. 

행복하세요

반응형